닫기

- 사단법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HOME 통합검색 사이트맵

Notice

HOME  •  CEM-TP Lounge  •  Notice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CEM-TP
분류
제목 한국위기관리논집 JAMS 투고안내
작성자 이론과실천 등록일시 2015-03-01 08:35:28
첨부파일 [첨부2]JAMS2.0_논문심사매뉴얼_심사위원.pdf [첨부3]JAMS2.0_논문제출매뉴얼_투고자.pdf [첨부4]JAMS2.0_신규_회원가입_및_로그인_절차.pdf
한국위기관리논집 JAMS 투고안내


언제나 한국위기관리논집을 사랑하고 아껴주시는 많은 위기관리 연구자 선생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애정과 도움 덕분에 한국위기관리논집은 이제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로서 연 12회 발간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위기관리논집에 투고해주시는 연구자 선생님들과 바쁘신 가운데서도 기꺼이 원고의 심사를 맡아주시는 심사위원 선생님들, 그리고 편집위원회 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2015년을 맞이하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은 위기관리학의 학문적 발전과 체계화와 더불어 연구자 선생님들의 주옥같은 논문이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이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에서는 인류의 안전한 삶과 행복에 기여하기 위해 연구하시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많은 연구자 선생님들의 소중한 원고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한국위기관리논집과 국제 영문학술지 JSCM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를 사랑하고 아껴주시는 많은 선생님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면서 앞으로도 좋은 논문을 많이 투고해 주실 것을 진심으로 당부 드립니다.

그리고 한국위기관리논집은 2015년도 3월부터 한국연구재단의 온라인 논문 투고·심사 시스템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논문 투고를 받을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JAMS 시스템은 한국위기관리논집의 투명성 제고와 심사위원님들의 접근성과 편리성 강화, 학술논문집의 품질 향상을 위해 도입하였습니다.

현재 한국위기관리논집의 온라인 논문 투고·심사 시스템(JAMS)은 구축이 완료되어 시범 가동 중이며, 3월 중순부터는 한국위기관리논집 JAMS 홈페이지와 https://cemtp.jams.or.kr 에서 논문을 받게 됩니다. 기존에 회원이신 분들은 홈페이지에 재가입 없이 사무처에 기존처럼 투고를 하시면서, 사무처에서 알려드릴 예정인 ID와 PW를 사용해서 JAMS에도 올려 주시길 바랍니다(혹시라도 시험 가동 기간 중에 제대로 JAMS 시스템 상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논문의 경우에는, 즉시 예전 방식으로 심사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제출방법 및 회원가입, 심사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안내 사항을 참조해 주십시오.

국내 유일의 위기관리 분야의 제학문적 싱크 탱크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을 사랑하고 아껴주시는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하다는 말씀을 올립니다. 더불어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에서는 영문으로 출판하고 있는 국제학술지 JSCM의 SCOPUS 등재를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오늘 날의 위기는 단일 국가만의 힘으로 관리하거나 대책을 세우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이에 국제적인 위기관리 협력과 공조를 위해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은 지난 해 부터 국제위기관리학회인 ISCEM(International Society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과 공동으로 JSCM을 발행해 오고 있습니다.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은 여러분과 함께 위기관리의 국제화를 선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안내 사항>

1. JAMS 제출 방법 : 한글97(이상)로 작성된 논문을 한국위기관리논집 JAMS 홈페이지에
제출

2. 논문 제출처 : 한국위기관리논집 JAMS 홈페이지( https://cemtp.jams.or.kr )

3. JAMS 담당간사 : 권설아(010-2273-2197)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사무처 배상


이전글  ▲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3호 논문 모집
다음글  ▼ [포럼안내] 위험사회, 왜 지역사회 탄력성이 필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