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사단법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HOME 통합검색 사이트맵

Article Search

HOME  •  Crisisonomy  •  Article Search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CEM-TP

eISSN : 2466-1201 / pISSN : 2466-1198

한국위기관리논집 [Crisisonomy], Vol.19 no.4 (2023)
pp.33~43

DOI : 10.14251/crisisonomy.2023.19.4.33

- Will I Be Unsafe in the Near Future? - Exploring Subjective Factors Affecting Perceptions of Future Safety Threats - -

Da Young Kim

(Department of Public Adminstr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Korea)

Hyoung Shik Shim

(Chungcheong Today, 159 Heungdeok-ro, Heungdeok-gu, Chungju, Chungbuk, Korea)

Min Kyu Lee

(Department of Public Adminstr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Korea)

인접한 미래에 안전 위협이 개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시됨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재 시점에서 미래까지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사회를 바라보 는 가치관, 사회활동 참여의지, 기업활동에 대한 평가 등을 기반으로 stata 17 se를 활용한 다중회귀분석 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사회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을 지니고, 무엇보다 Covid 대응체계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내린 사람일수록 미래 안전 위협에 대해 삶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력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활동을 다양하게 참여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 의 경우 미래 안전 위협에 대해 삶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력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문제 해결 주체로서 기업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안전’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사회 이슈로 대두되는 것은 공동체가 받아들여야 하는 위험요소의 증가와 함께 사회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제도 의 정비가 요구되는 지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다양한 배경에 의해 형성되는 개인 안전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가올 미래 나는 안전한가 - 미래 안전 위협에 대한 주관적 평가요인 탐색 -

Da Young Kim

Hyoung Shik Shim

Min Kyu Lee

As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potential negative impacts of future safety threats on individuals' l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perceptions of the future in the present moment.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tata 17 SE, the study was based on variables related to social perspective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and evaluations of corporate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who held positive social values tended to evaluate the negative impacts of future safety threats on their lives as less severe.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who tended to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to solve social problems tended to evaluate the negative impacts of future safety threats on their lives as more severe. The continued prominence of "safety" as a social issue reflects the increasing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based on societal understanding. In this regar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empirical research on individual perceptions of safety awareness formed based on various backgrounds.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