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사단법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HOME 통합검색 사이트맵

Article Search

HOME  •  Crisisonomy  •  Article Search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CEM-TP

eISSN : 2466-1201 / pISSN : 2466-1198

한국위기관리논집 [Crisisonomy], Vol.19 no.2 (2023)
pp.157~171

DOI : 10.14251/crisisonomy.2023.19.12.157

-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 An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s -

Sooyeon Park

(College of Nursing, Konyang University)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기반으로 폐경 후 중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 16차 한국복지패널조사에 참여한 50-64세 폐경 후 여성 1,300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우울의 영향하는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수준(β=-.172, p<.001), 자아존중감(β=-.395, p<.001), 가족관계 만족도(β=-.104,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 영향하는 각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6.4%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울에 영향하는 생태체계적 요인들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향후 지역사회 보건의료인들 이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수준 중재 전략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하겠다.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른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Sooyeon Par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based on an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s among postmenopausal middle-aged women. This study was the data of 1,300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aged 50-64 years from the 16th Korea Welfare Panel Study. Using the SPSS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subjective health status(β= -.172, p<.001), self-esteem(β = -.395, p<.001), and family relation satisfaction(β= -.104,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influencing depression,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36.4%. These ecological systemic factors may help community health professionals develop multilevel strategies for preventing and managing depression in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다운로드 리스트